공급망 관리(Supply Chain Management)
SCM의 기초가 되는 것이 엘리 골드랫(Eliyahu M. Goldratt, 1948~)의 TOC(Theory Of Constraints)이론입니다. 다른 말로는 '제약 이론' 또는 '제약조건 이론'이라고도 하는데, 통제할 부분(병목)을 잘 컨트롤함으로써 전체의 스루풋(throughput, 단위시간당 처리능력)을 향상시킨다는 개념입니다.
TOC는 DBR(Drum-Buffer-Rope) 이론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. 운동회에서 흔히 하는 2인3각 경기를 떠올려봅시다. 한 사람이 아무리 발을 빨리 움직여도 짝을 이룬 사람과 호흡이 맞지 않는다면(병목) 결코 앞서 나갈 수 없습니다. 이와 마찬가지로 공급사슬에도 2인3각처럼 통일이나 조화가 필요하다는 개념입니다.
TOC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'쇠사슬 이론'이라는 것도 있습니다. 쇠사슬은 하나하나의 고리로 이어져 있습니다. 각각의 고리가 전부 쇠로 되어 있어 튼튼하다면 아무 문제가 없겠지만, 단 한 군데라도 고무로 되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? 단 하나의 사슬이라도 고무로 되어 있다면 조금만 힘을 줘도 그 사슬은 쉽게 끊어질 것입니다. 고무로 된 부분이 바로 '병목'이 되는 셈 입니다.
공급사슬에 고무사슬처럼 병목이 되는 요소가 섞여 있어서는 그 사슬의 스루풋은 결코 좋아질 수 없습니다. 이 점은 앞에서 설명했던 '가치사슬' 개념과도 비슷합니다.
공급사슬
공급자 (supplier) 원재료, 부품 등 |
↓
생산자 (manufacturer) 생산, 조립 등 |
↓
도매상 (wholesaler) |
↓
소매상 (retailer) |
↓
소비자 (consumer) |
SCM은 제약 이론을 바탕으로 병목이 없는 사슬을 구축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합니다.
-경영학 무작정 따라하기 미야자키 데츠야 지음
공급망 관리(Supply Chain Management)란 부품 제공업자로부터 생산자, 배포자, 고객에 이르는 물류의 흐름을 하나의 가치사슬 관점에서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가 원활히 흐르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. - 위키백과